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올해 말 수립될 전력수급계획…석탄발전 무덤 예고?

전기 이야기

by 태양광모듈.인버터 2016. 7. 4. 07:32

본문

올해 말에 수립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믹스에서 석탄발전의 비중이 크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석탄발전 건설이 제약을 받는데다 노후 된 10기 중 이미 폐지계획이 포함된 2기를 제외하고 8기의 폐지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돼 있으나 착공하지 못한 사업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정부가 석탄발전 미세범지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석탄발전의 비중을 축소하고 친환경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문제를 국가의 최우선 해결과제로 설정한데 이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업별 세부추진일정과 투자계획 등을 담은 ‘미세먼지 특별대책 세부이행계획’을 지난 30일 확정한데 이어 지난 1일 전격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올해 말 수립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석탄발전의 비중을 축소하는 반면 태양광발전 등 친환경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주) 등 발전5사 석탄발전사업자의 근심도 커지고 있다.

석탄발전 관련 신규 건설이 사실상 제약을 받게 된 가운데 노후 된 10기의 석탄발전 중 폐지계획이 반영된 2기를 제외하고, 8기의 폐지계획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미 반영된 석탄발전도 착공을 하지 않았다면 사업권을 보장받지 못할 상황에 놓일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미 앞서 2015년 6월 뒤늦게 확정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발전5사의 석탄발전 건설계획이 대부분이 반영되지 않은데다 이미 반영됐던 영흥화력 7·8호기(87만kW×2기)와 송전문제에 부딪힌 동부하슬라 1·2호기(100만kW×2기) 등 4기가 이미 철회된 바 있기 때문이다.

먼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당시 발전5사에서 추진했던 ▲남동발전의 영흥화력 7·8호기(87만kW급×2기) ▲서부발전의 하동K프로젝트(100만kW급×2기) ▲남부발전의 삼천화력 3·4호기(100만kW급×2기) ▲동서발전의 신호남화력(100만kW급×1기) 등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다가 현재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하지 않은 석탄발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준공될 당진에코파워의 당진에코파워 1·2호기(58만kW×2기), 2021년 포스파워의 삼천화력 1·2호기(100만kW×2기), 2021년 고성그린파워의 고성하이화력 1·2호기(100만kW×2기) 등이다.

당진에코파워는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공유수면매립지기본계획 변경여부가 현재 결정되지 않은데다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다. 이 기본계획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사실상 석탄발전 건설이 힘들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포스파워의 삼척화력 1·2호기도 대규모 방파제 건설에 따른 해안파괴가 우려된다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데다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지역주민들과의 마찰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30년까지 40년 이상 되는 석탄발전은 사실상 폐지수준을 밟게 되는데 이번에 수립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모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폐지·대체사업·연료전환 등으로 사업이 제약되는 탓에 석탄발전 수명연장이나 새로운 석탄발전을 건설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정부는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과 인근지역 송전선로 여건 등을 고려해 폐지계획이 반영되지 않은 8기에 대한 처리방안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은 ▲호남화력 1·2호기(동서발전) ▲영동화력 1·2호기(남동발전) ▲삼천포화력 1·2호기(남동발전) ▲서천화력 1·2호기(중부발전) ▲보령화력 1·2호기(중부발전) 등이며,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2018년 서천화력 1·2호기만 폐지계획이 반영돼 있으며, 나머지 8기는 폐지계획이 반영돼 있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20년 이상 된 석탄발전 관련 성능개선사업과 함께 환경설비에 대한 대대적인 교체방안이 마련되고, 20년 미만 석탄발전은 환경오염물질저감시설 확충공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석탄발전이 밀집해 있는 충남지역에 대해선 최대한 조속한 시일 내 환경오염물질저감시설 확충공사를 하기로 했다. 

  
▲ 남동발전 영동화력 전경.

올해 말에 수립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믹스에서 석탄발전의 비중이 크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석탄발전 건설이 제약을 받는데다 노후 된 10기 중 이미 폐지계획이 포함된 2기를 제외하고 8기의 폐지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돼 있으나 착공하지 못한 사업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정부가 석탄발전 미세범지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석탄발전의 비중을 축소하고 친환경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문제를 국가의 최우선 해결과제로 설정한데 이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업별 세부추진일정과 투자계획 등을 담은 ‘미세먼지 특별대책 세부이행계획’을 지난 30일 확정한데 이어 지난 1일 전격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올해 말 수립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석탄발전의 비중을 축소하는 반면 태양광발전 등 친환경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주) 등 발전5사 석탄발전사업자의 근심도 커지고 있다.

석탄발전 관련 신규 건설이 사실상 제약을 받게 된 가운데 노후 된 10기의 석탄발전 중 폐지계획이 반영된 2기를 제외하고, 8기의 폐지계획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미 반영된 석탄발전도 착공을 하지 않았다면 사업권을 보장받지 못할 상황에 놓일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미 앞서 2015년 6월 뒤늦게 확정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발전5사의 석탄발전 건설계획이 대부분이 반영되지 않은데다 이미 반영됐던 영흥화력 7·8호기(87만kW×2기)와 송전문제에 부딪힌 동부하슬라 1·2호기(100만kW×2기) 등 4기가 이미 철회된 바 있기 때문이다.

먼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당시 발전5사에서 추진했던 ▲남동발전의 영흥화력 7·8호기(87만kW급×2기) ▲서부발전의 하동K프로젝트(100만kW급×2기) ▲남부발전의 삼천화력 3·4호기(100만kW급×2기) ▲동서발전의 신호남화력(100만kW급×1기) 등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다가 현재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하지 않은 석탄발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준공될 당진에코파워의 당진에코파워 1·2호기(58만kW×2기), 2021년 포스파워의 삼천화력 1·2호기(100만kW×2기), 2021년 고성그린파워의 고성하이화력 1·2호기(100만kW×2기) 등이다.

당진에코파워는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공유수면매립지기본계획 변경여부가 현재 결정되지 않은데다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다. 이 기본계획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사실상 석탄발전 건설이 힘들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포스파워의 삼척화력 1·2호기도 대규모 방파제 건설에 따른 해안파괴가 우려된다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데다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지역주민들과의 마찰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30년까지 40년 이상 되는 석탄발전은 사실상 폐지수준을 밟게 되는데 이번에 수립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모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폐지·대체사업·연료전환 등으로 사업이 제약되는 탓에 석탄발전 수명연장이나 새로운 석탄발전을 건설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정부는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과 인근지역 송전선로 여건 등을 고려해 폐지계획이 반영되지 않은 8기에 대한 처리방안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은 ▲호남화력 1·2호기(동서발전) ▲영동화력 1·2호기(남동발전) ▲삼천포화력 1·2호기(남동발전) ▲서천화력 1·2호기(중부발전) ▲보령화력 1·2호기(중부발전) 등이며,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2018년 서천화력 1·2호기만 폐지계획이 반영돼 있으며, 나머지 8기는 폐지계획이 반영돼 있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20년 이상 된 석탄발전 관련 성능개선사업과 함께 환경설비에 대한 대대적인 교체방안이 마련되고, 20년 미만 석탄발전은 환경오염물질저감시설 확충공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석탄발전이 밀집해 있는 충남지역에 대해선 최대한 조속한 시일 내 환경오염물질저감시설 확충공사를 하기로 했다.


    
▲ 남동발전 영동화력 전경.


관련글 더보기